요즘처럼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면 식중독이나 장염 환자도 슬슬 늘어나기 시작합니다.
특히 어린아이들이 있는 집이나, 외식이 잦은 분들은 주의가 필요한데요.
이번 글에서는 장염이란 무엇인지, 걸리는 이유, 먹으면 좋은 음식과 피해야 할 음식,
그리고 전염 방지 방법과 유치원·학교 결석 시 필요한 서류까지 꼼꼼히 알려드리겠습니다.
목차
- 장염이란?
- 장염의 주요 원인
- 장염에 좋은 음식 vs 피해야 할 음식
- 전염 방지법 및 격리기간
- 학교·유치원 결석 시 필요한 서류
장염이란?
장염은 말 그대로 ‘장에 염증’이 생기는 질환입니다.
바이러스, 박테리아, 기생충 등에 감염되거나, 상한 음식을 먹었을 때 주로 발생합니다.
급성 장염의 대표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.
주요 증상 | 설명 |
복통 | 배가 아프고 쥐어짜는 듯한 통증 |
설사 | 하루에 여러 번 묽은 변을 봄 |
구토 | 먹은 걸 바로 토하거나 메스꺼움 |
발열 | 가벼운 미열부터 고열까지 다양 |
탈수 | 소변량 감소, 어지러움, 입 마름 |
장염, 왜 생길까요?
장염의 원인은 정말 다양합니다.
보통은 바이러스 감염이 가장 많고, 그중 ‘노로바이러스’, ‘로타바이러스’가 대표적입니다.
다음은 장염의 주요 원인입니다.
- 바이러스 감염 : 겨울철 노로바이러스, 영유아의 로타바이러스
- 식중독 : 상한 음식, 덜 익힌 육류, 조개류
- 개인위생 부족 : 손 씻기 미흡, 유아 간 장난감 공유 등
- 항생제 남용 : 장내 유익균 감소로 인해 발생
특히 바이러스성 장염은 ‘전염성’이 강하니, 아이 한 명 걸리면 가족 전체가 아프기 쉽습니다.
장염에 좋은 음식 vs 피해야 할 음식
장염에 걸렸을 때는 소화가 잘 되는 음식 위주로 먹어야 합니다.
무조건 굶는 건 오히려 회복을 늦출 수 있습니다.
✅ 먹으면 좋은 음식
음식 | 설명 |
흰죽 | 소화 잘 되고 위에 부담 없음 |
바나나 | 수분 보충, 설사 완화에 도움 |
구운 식빵 | 섬유질 적고 자극 적음 |
삶은 감자 | 포만감 있고 위에 부드러움 |
미음 | 물처럼 흘러 소화기관에 무리 없음 |
❌ 피해야 할 음식
음식 | 이유 |
유제품 | 설사 심해질 수 있음 |
기름진 음식 | 소화 안 되고 복통 유발 |
탄산, 커피 | 위장 자극 |
날 음식 | 세균 감염 위험 |
매운 음식 | 장 자극해 증상 악화 |
전염 안 되게 하려면? + 격리기간은?
바이러스성 장염은 정말 전염성이 강해요.
특히 노로바이러스는 아주 소량으로도 감염되고, 공기 중 전파도 가능해요.
전염 막는 방법
- 화장실 사용 후 반드시 손 씻기
- 감염자와 수건, 식기 분리 사용
- 아이가 쓴 장난감, 이불 자주 소독
- 구토나 설사물은 일회용 장갑 끼고 처리
유치원, 학교 몇 일 쉬어야 할까?
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장염은 2군 법정감염병에 해당돼요.
특히 어린이집, 유치원, 학교 등 단체생활을 하는 아이는 격리가 필요합니다.
구분 | 격리 권장 기간 |
노로바이러스 | 증상 없어지고도 2~3일 이상 격리 권장 |
로타바이러스 | 최소 5일 이상 격리 필요 |
일반 세균성 장염 | 항생제 치료 시 48시간 이후 등원 가능 |
학교에 내야 할 서류는?
- 병원 진단서 또는 소견서
(필요 시 ‘출석 인정 결석’으로 처리 가능) - 유치원은 경우에 따라 의사 소견서만으로도 충분
- 학교 보건실에 문의하면 출석인정 서식 제공됨
맺음말
장염은 가볍게 여길 병이 아니에요.
특히 어린 아이나 노약자, 임산부에게는 탈수와 고열이 더 위험할 수 있어요.
간단 정리 드릴게요!
장염 정리 요약표
항목 | 내용 |
주요 원인 | 바이러스(노로, 로타), 식중독 |
전염성 | 매우 강함 |
좋은 음식 | 흰죽, 바나나, 미음 |
피해야 할 음식 | 유제품, 탄산, 기름진 음식 |
격리 기간 | 평균 2~5일 이상 |
서류 | 진단서, 소견서 등 |
정확한 진단은 병원에서 받으시고, 격리와 위생관리만 잘해도 가족 전염은 충분히 막을 수 있어요.
건강한 장을 위해 물 자주 마시고, 손 자주 씻는 습관 들여보세요!
'건강관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과민성 대장증후군 자세히 알아보고 평온한 일상을 보내자 (0) | 2025.03.28 |
---|---|
환절기 필수 - 면역력 높이는 방법 및 영양제 추천 (0) | 2025.03.28 |
체지방 줄이는 법 : 체지방의 중요성과 관리 방법 (0) | 2025.03.27 |
영유아건강검진으로 우리 아이 발달 상태를 살펴요 (0) | 2025.03.27 |
혈압 낮추는 법 - 생활 속 혈압 낮추는 방법 (0) | 2025.03.27 |